총합 (합) |
당첨번호 6개를 더한 값입니다.
예) 395회차 당첨번호 - 11,15,20,26,31,35 / 총합은? 11+15+20+26+31+35 = 138 |
홀짝 |
당첨번호중 짝수와 홀수의 갯수를 말합니다
홀짝패턴은 0:6 1:5 4:2 3:3 4:2 5:1 0:6의 7가지 패턴이있습니다. |
고저차 |
- 고 : 45개의 번호에서 23을 기준으로 23이상의 숫자는 높은수 고로 나눕니다.
- 저 : 45개의 번호에서 23을 기준으로 23이하의 숫자는 낮은수 저로 나눕니다.
- 고저차 : 45개의 당첨번호중 가장 큰수를 고, 가장 작은 수를 저로 보고 그 차이의 값을 고저차라고 합니다.
- 고저패턴 : 0:6 1:5 4:2 3:3 4:2 5:1 0:6의 7가지 패턴이 있습니다.
예) 395회차 당첨번호 - 11,15,20,26,31,35에서 고에 해당하는 숫자는 35이고, 저에 해당하는 숫자는 11입니다.
그리고, 고저차의 값은 35-11=24입니다.) |
끝수 |
당첨번호를 십자리와 단자리로 나눈후 단자리에 해당하는 숫자들 입니다.
예) 당첨번호가 42일 경우 끝수는 '2'입니다. |
끝수합 |
당첨번호를 십자리와 단자리로 나눈 후 단자리를 모두 더한 값입니다.
예) 395회차 당첨번호 - 11,15,20,26,31,35 / 끝수합은? 1+5+0+6+1+5 = 18 |
낙수 |
당첨번호 각각이 몇 회전에 당첨된 후 다시 당첨 번호로 나왔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
낙첨합
(=낙수합) |
낙수,낙첨과 동일 개념으로 보시고 위에서 추적한 낙수의 합을 말합니다. |
ac값
(=산술적 복잡도) |
ac값은 산술적 복잡성을 말하는 것으로 무작위로 6개 숫자를 뽑을 경우 숫자 간의 차이(간격)가 동일한 가능성이 낮습니다. 산술적 복잡성이 낮을수록 숫자들간의 간격이 규칙적인 것을 의미합 니다.
4부터 10까지의 숫자로 나타나는데, 국내외 로또 당첨번호를 보면 통상 7이상의 경우가 대다수이고 8,9,10이 주축을 이룹니다. 8~10까지가 71%, 7~10까지가 85%입니다. 국내의 경우 현재까지 AC값이 6인경우가 두번 있었습니다. |
뜨거운 수, 차가운 수
(= 핫넘버 & 콜드넘버) |
- 뜨거운 수최근 10주, 5주 이내를 기준으로 잡고 봤을 때, 가장 많이 당첨된 번호를 말합니다.뜨거운 수의 조건은 10주 이내, 2번출현 그리고 5주 이내 1번 출현입니다.
- 차가운 수뜨거운 수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며 10주 이내 1회, 5주 이내 1회 출현한 것을 말합니다.다시 정리해서 뜨거운 수, 첫수가 아닌 것이 차가운 수입니다. |
첫수 |
10주동안 한번도 당첨번호로 출현하지 않은 번호입니다. |
소수-3배수-합성수
(3집단 분류) |
- 소수
소수는 1과 자신 이외에는 나누어지지 않는 수를 말합니다.
해당하는 숫자 2,3,5,7,11,13,17,19,23,29,31,37,41,43 이상 14개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매번 평균 2개가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 3배수
선택된 6개 숫자 중 3의 배수를 몇개 포함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1부터 45까지의 3배수는 3,6,9,12,15,18,21,24,27,30,33,36,39,42,45로 모두 15개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매번 평균 2개가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합성수
합성수는 소수와 3배수를 제외한 숫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1부터 45까지 합성수는
1,4,8,10,14,16,20,22,25,26,28,32,34,35,38,40,44로 17개입니다 .
이론적으로 2개 정도가 나올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에처럼 로또 45개 번호를 소수-3배수-합성수로 각각 나누어 분류하는 법을 3집단분류 혹은 피멍이패턴(피멍이란분이 이론적으로 제시 했답니다.)이라고 하는데, 이름이야 주기 나름이겠지요. 3은 3배수와 소수에 동시에 포함되는데 분류하는 사람이나 필터링 프로그램에 따라 소수로 분류하기도 하고 3배수로 분류합니다.
- 3집단 분류
소수 : 2,3,5,7,11,13,17,19,23,29,31,37,41,43
3배수 : (3),6,9,12,15,18,21,24,27,30,33,36,39,42,45
합성수 : 1,4,8,10,14,16,20,22,25,26,28,32,34,35,38,40,44 |
동형수 |
십단위와 단단위를 분리한다음 다시 더했을때 같은 값이고, 모양이 거울에 비친 모양을 나타내는 수 입니다. 12/21, 13/31, 14/41, 23/32, 24/42, 34/43이 있고 예외적으로 6/9를 추가합니다.동형수배제의 원칙이라는게 있습니다. 위에처럼 서로 짝이되는 번호는 같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회귀설
(=회귀법) |
회귀설은 현재을 기준으로 과거 전회차의 당첨번호에서 포함된 숫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3회귀설이라면 현재 회차 기준으로 3회차전에 나왔던 당첨번호가 이번 회차에 다시 나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회차회귀설, 2회귀설, 3회귀설, 6회귀설, 9회귀설, 12회귀설...등 많은 회귀설이 있습니다. |
3분법패턴
(=3분할) |
45개 숫자를 3개 그룹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즉, 1구간은 1~15까지, 2구간은 16~30까지, 3구간은 31~45까지 45개 숫자를 15개씩으로 나눠서 각각 15개의 번호가 포함된 3개의 그룹 말합니다. 15개씩 나누므로 확률상 각각 2개씩 포함되어 야 하지만, 이것은 위의 3집단 분류에 비해 그 편차가 심합니다. 나오지 않은 번호대가 있기 때문입니다. |
할로겐볼 |
로또추첨방송이 끝나고 당첨번호를 보여줄 때 할로겐통에 보이는 공을 말합니다. |
포아송 공식
(= 삼각수 공식) |
당첨번호를 순서대로 나열해서 큰수에서 작은수를 뺀 나머지 각각의수.
예를들어 96회차의 당번을 출현순서로 나열합니다.(보볼제외)

(1,3,5,6,7,8,11,13,16,19,20,23,28 ) - 13수를 삼각수라고 합니다. |
9궁도(합의 개념) |
숫자를 십의 단위와 단 자리로 나눈 후 이 두개를 다시 더합니다. 이때 더해진 수가 9를 넘을 경우 다시 같은 작업을 반복 하시면 됩니다.
예) 15=1+5=6, 6궁, 35=3+8=11 > 11=1+1=2 2궁1부터 45까지 위의 방식으로 하면 다섯개씩 9개의 궁으로 나누어 집니다.
1궁 1,10,19,28,37
2궁 2,11,20,29,38
3궁 3,12,21,30,39
4궁 4,13,22,31,40
5궁 5,14,23,32,41
6궁 6,15,24,33,42
7궁 7,16,25,34,43
8궁 8,17,26,35,44
9궁 9,18,27,36,45 |
일련번호 |
로또6/45의 완전조합 총 8,145,060개 조합
1번째 조합 [1,2,3,4,5,6]을 시작으로 ~ 8,145,060번째 조합 [40,41,42,43,44,45]까지 번호를 순서대로 정해놓은 것입니다.
| |
댓글을 달아 주세요